한국은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대학을 가면 성공한다는 사회의 분위기 속에서,대한민국은 68% 대학 진학률이라는 세계에 유례가 없는 교육열을 낳았습니다. 그러나 오히려 대한민국의 청년 현실은 흙수저, 헬조선, 취준생, 이런 말이 보여 주듯이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아픔과 좌절의 목소리가 들려오고 있으며, 오히려 과잉 학력과 갈 곳 모르는 청년들이 많이 남아 있는 상황입니다.
지금은 이러한 청년들에게 취업과 창업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삶의 방식을 제안하고,청년들이 스스로 자기의 문제를 해결하여 자립할 수 있도록 절대적으로 도와야 하는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.
*4차 산업 혁명이란 “인공 지능 기술 및 사물 인터넷, 빅데이터 등 정보 통신 기술 (ICT) 과의 융합을 통해 생산성이 급격히 향상 되고
제품과 서비스가 지능화 되면서 경제 ‧ 사회 전반에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것”을 의미.
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인재는 복잡한 문제를 푸는 능력, 비판적 사고, 창의력, 사람관리, 협업(協業)능력을 갖춘 인재
출처 : 2016년 1월 20∼23일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(WEF) 연차총회(일명 다보스 포럼)
*Big Profit 기업은 사회 문제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아내 이를 ‘사회 공헌, 기업 가치, 이익 증대’의 선순환 구조로 연결시켜
지속 가능한 성장을 구현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의 기업을 의미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사회를 변화 시키며 수익을 내는 비즈니스 모델의 기업을 의미
빅리더는 줄리어스 로젠월드 처럼,
청년 인재를 양성하여, 원하는 기업에 취업을 할 수 있도록 돕고
모든 공공 영역의 여겨졌던 사회 문제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아내 이를 '사회 공헌, 기업 가치, 이익 증대'의 선순환 구조로 연결시켜 지속 가능한 성장을 구현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
또한 Making Social Good을 통한 Social Innovative Impactor를 양성합니다